본문 바로가기

SQL

(4)
DCL(Data Control Language) ▶ 계정(사용자)관리자 계정 :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관리를 담당하는 계정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가지는 계정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ex) sys(최고 관리자), system(sys에서 권한이 몇 개 제외된 관리자)사용자 계정 :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질의, 갱신, 보고서 작성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계정으로,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업무에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을 가지는 것을 원칙으로 함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ex) 개별 이니셜 계정▶ DCL(Data Control Language)DCL(Data Control Language) : 계정에 DB와 DB 객체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회수하는 언어1) GRANT : ..
VIEW / SEQUENCE / INDEX ▶ VIEWSELECT 문의 실행 결과(Result Set)를 저장하는 객체논리적 가상 테이블 → 테이블 모양을 하고 있지만, 실제 값을 저장하고 있진 않음.★ ★  VIEW 사용 목적 ★ ★ 1) 복잡한 SELECT 문을 쉽게 재사용하기 위해서 사용2) 테이블의 진짜 모습을 감출 수 있어 보안상 유리함★ ★ ★  VIEW 사용 시 주의 사항 ★ ★ ★ 1) 가상의 테이블(실체 없음)이기 때문에, ALTER 구문 사용 불가능2) VIEW 를 이용한 DML(INSERT, UPDATE, DELETE) 가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,    제약이 많이 따르기 때문에 보통은 조회(SELECT) 용도로 많이 사용함VIEW 생성 방법- CREATE [ OR REPLACE ] [ FORCE | NOFORCE ] VIEW ..
DDL (DATA DEFINITION LANGUAGE) _ 데이터 정의 언어 ▶ DDL (Data Definition Language) : 데이터 정의 언어객체(Object)를 만들고(CREATE), 수정하고(ALTER), 삭제하는(DROP) 등데이터의 전체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로, 주로 DB관리자 / 설계자가 사용함오라클에서의 객체- 테이블(TABLE), 뷰(VIEW), 시퀀스(SEQUENCE), 인덱스(INDEX), 패키지(PACKAGE),  트리거(TRIGGER), 프로시져(PROCEDURE), 함수(FUNCTION), 동의어(SYNONYM),  사용자(USER)▶ CREATE테이블이나 인덱스, 뷰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하는 구문테이블로 생성된 객체는 DROP 구문을 통해 제거할 수 있음1. 테이블(TABLE) 생성하기테이블(TABLE)이란?- 행(ROW)과 열..
함수 ▶ 함수(Function)함수란?- 컬럼의 값을 읽어서 연산한 결과를 반환하는 것단일행(Sigle Row) 함수- N개의 값을 읽어서 N개의 결과를 반환그룹(Group) 함수- N개의 값을 읽어서 1개의 결과를 반환함수는 SELECT절, WHERE절, ORDER BY절, GROUP BY절, HAVING절에서 사용 가능 ▶ 단일행 함수(Function) 문자열 관련 함수- LENGTH (문자열 | 컬럼명) : 문자열의 길이 반환SELECT 'HELLO WORLD', LENGTH('HELLO WORLD') FROM DUAL;    - INSTR (문자열 | 컬럼명, '찾을 문자열', [, 찾을 시작 위치 [, 순번])      : 지정한 위치부터 지정한 순번째로 검색되는 문자의 시작 위치를 반환EX-1) 문..